에듀프레스 김민정 기자 =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KEDI)은 25일 발표한 ‘2025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에서 직업계고 졸업자의 대학 진학률이 49.2%로 집계돼 전년보다 1.2%포인트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는 직업계고 학생들이 취업뿐 아니라 학업 연장 등 다양한 진로를 선택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조사는 2025년 2월 졸업한 직업계고 학생 5만9천66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가운데 취업자는 1만5천296명, 진학자는 2만9천373명으로 조사됐다. 취업률은 55.2%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하락했으나 하락 폭은 3년 연속 줄어들고 있다.

취업자·진학자·입대자·제외인정자를 제외한 미취업자 비율은 20.8%로 전년보다 0.5%포인트 낮아졌다. 교육부는 이를 두고 “단순히 취업 대신 진학이 늘어난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졸업 전 진로를 명확히 결정하는 비율이 높아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학교유형별 취업률은 마이스터고가 73.1%로 가장 높았고 특성화고 52.4%, 일반고 직업반 38.2%가 뒤를 이었다.

학생들의 진학 선택이 확대되는 가운데에서도 취업의 질은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

300인 이상 대기업 취업 비중은 36.3%로 4년 연속 증가했으며 졸업 후 일정 기간 일자리를 유지하는지 확인하는 유지취업률도 상승했다. 2024년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1차 유지취업률은 83.1%(0.9%p↑), 2차 유지취업률은 68.2%(2.0%p↑)로 모두 오름세를 보였다.

유형별 2차 유지취업률은 마이스터고가 71.5%로 가장 높았고 특성화고 67.4%, 일반고 직업반 64.4% 순이었다.

교육부 관계자는 “직업계고 학생들이 취업과 진학을 자유롭게 선택하며 진로를 설계하고 취업을 선택한 경우에도 안정적 고용을 유지하는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며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고 원하는 진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