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종의 교육시론] 6.25전쟁 70주년과 평화통일교육의 방향
[박은종의 교육시론] 6.25전쟁 70주년과 평화통일교육의 방향
  • 김민정 기자
  • 승인 2020.06.24 17: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은종 공주대겸임교수
박은종 공주대겸임교수

올해는 6·25 한국 전쟁 발발 70주년이 되는 해다. 한국전쟁은 1950년 6월 25일 북한이 선전포고 없이 남한을 기습 침공하면서 발발했으며 1953년 7월 27일까지 16개국 유엔군이 참전하는 국제전쟁으로 비화하면서 총 3년 1개월간 이어진 민족상잔의 아픔이다.

한국전쟁은 같은 민족끼리 총, 칼을 겨누고 벌어진 교전으로 국토는 폐허가 되고 수많은 사람이 사상한 아주 슬픈 역사로 기록됐다. 세계의 모든 전쟁이 인류에게 얼마나 큰 죄악이며 민족에게 얼마나 큰 멍에를 지웠는가는 역사가 웅변하고 있다.

남북한이 분단된 한반도의 평화통일은 지고지순의 가치다. 그런데 남북 관계가 벼랑으로 치닫고 있다. 남북 통일교육도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북한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에 이어 우리 정부와 국민을 향해 도발을 이어가고 있다.

우리 대통령에 대한 막말과 폄훼를 일삼고 있다. 군사행동도 심심찮게 언급하고 있다. ‘조선 반도 전쟁’을 공공연히 외치고 있다. 백령도, 연평도 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고 지하 대피소를 열었다는 보도가 있다. 2018년 9.19 선언의 폐기 징조가 드러나고 있어서 우려된다.

다행히 최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직접 나서 군사행동 보류를 선언해서 완급이 조절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임시방편이지 언제 또 다시 도발을 자행할지 모르는 국가 비상 시대다.

그런 와중에 금년 3월 신학기에 전국 고교에 배포돼 학생들이 배우는 한국사 검정 교과서의 내용이 새롭게 언급되고 있다. 8종 검정교과서 모두가 2018년 남북정상회담과 판문점 선언을 다루며 남북 화해 분위기를 강조한다.

2022년 초등학교 사회(역사 포함) 검정교과서 도입을 앞두고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소위 어용(御用) 교과서 등장이 현실화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역사 편향 역사 기술, 특정 이념과 진영 논리 강요 등이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근절돼야 옳은 교육이다.

현직 대통령과 김정은이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악수하거나 함께 걷는 사진을 교과서에 싣고 한반도의 긴장이 남북정상회담으로 전환점을 맞이한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국민들이 남북 관계가 경색된 현실을 뉴스를 통해 매일 보고 듣는데, 고교생용 교과서에선 현 정권에서 비핵화, 남북 화해가 달성된 것처럼 교육하고 있다.

남북 분단과 평화통일교육은 현재 진행형이다. 사회·역사 교사는 교과서대로 가르쳐서는 안 되고 다양한 시사, 뉴스 사실을 교재화하여 교수학습해야 한다.

사실 현대 교육에서는 역사는 과거를 가르치지 현 정부를 미화하지 않는다. 세계 어느 국가도 집권 중인 정부의 공과를 교과서에 넣어 가르치지 않는다.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더욱 이를 금기시하고 있다. 과거 왕조시대에도 사관들은 임금의 사후에 왕의 공과를 객관적으로 기술했다. 동서고금을 통틀어 집권자의 사전, 또는 집권 시에 사실과 업적을 기술하는 것은 역사를 바르게 기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는 건 미래 세대에 대한 교육이 아니라 정치적 선전, 선동이다. 특정 사실에 대한 역사적 평가가 시간이 흐르면서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은 상식이다.

그런데도 정부는 작년 11월 대통령 임기가 반환점을 돌았을 시점에 현 정권 찬양 내용이 담긴 교과서를 기어코 검정에서 통과시켰다. 정부가 지금은 입에 올리지도 않는 소주성(소득 주도 성장)을 추켜세운 교과서도 있다.

탈원전도 마찬가지다. 학생들에게 국가 정체성을 가르치고 배우는 교과서는 엄정 중립적 입장이어야 한다. 역사 교과서가 정권 선전물, 정치 선동물로 전락해서는 절대 안 된다. 사회·역사교과서가 ‘대한민국이 한반도 유일 합법 정부’, ‘6.25 북한 남침’, ‘대한민국 민주공화국 건국’,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 등 실체적 진실도 제대로 가르치지 못하면 어떻게 공정성, 객관성을 보장할 수 있겠나?

게다가 북한의 3대 세습, 북한 인권 등에 침묵하는 것이 이 시대 평화통일교육의 능사(能事)인지도 숙고해 봐야 한다. 역사가 과거와 현재의 대화이고 미래를 여는 창이라면 당연히 그 기저에 진실한 역사적 사실(事實) 즉 ‘사실(史實)’이 올곧게 자리 잡아야 한다. 신채호 선생의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을 음미해봐야 한다.

이번 개성 남북연락사무소 폭파의 빌미가 된 대북 전단 문제도 9.19 선언의 국민적 동의와 북한 인권, 남북의 평화통일의 관점에서 접근해야지, 무조건 북한 비위 맞추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재고해야 한다.

지난 정권의 국정교과서를 적폐라면 현 정권의 검정교과서는 더욱 더 선명한 내용, 국민적 합의를 거친 역사적 사실을 오롯이 가르쳐야 한다. 북한의 미화하거나 심기를 건드리지 않는 통일정책은 남북 모두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누가 뭐래도 우리의 통일정책과 평화통일의 노력은 굳건하게 나아가야 한다. 구 적폐 위에 신 적폐가 쌓여서는 안 된다.

올해는 동서독 통일 3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이다. 2018년 남북 정상회담, 남북미 정상회동, 북미 정상회담 등 남북의 평화통일이 미구에 다가온 것처럼 국민적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이제 ‘2032 서울 평양 공동 올림픽’ 유치처럼 평화통일은 멀게 보고 가야 할 지난한 과제로 돌아갔다.

결국 북한의 변덕에 우리의 평화통일정책과 통일교육이 흔들려서는 안 된다. 한반도 정세가 위기지만, 북한에 강 대 강으로 맞서 우리도 ‘핵개발론’으로 맞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우리가 핵개발을 하면 일본, 베트남 등은 자연스럽게 핵개발에 동차하게 되고, 아시아는 핵을 짊어진 대륙이 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한반도에 제2의 6,25 전쟁이 일어나서는 절대 안 된다. 우리는 통일교육의 위기 속에 평화통일의 길이 지난(至難)하지만, 우리는 통일의 그날까지 뚜벅뚜벅 함께 가야만 한다. 북한은 우격다짐으로 변화될 집단도 아니고, 유화책으로 동화될 집단도 아니다.

그래도 우리는 그 언제가 될지 모릉 남북 평화통일을 위해 마음의 촛불을 들고 통일교육에 진력해야만 한다. 그게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소명이라는 사실도 명심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