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현장에선] "2022 수능 절대평가 시기상조..정시 45% 확대도 무리수"
[고교 현장에선] "2022 수능 절대평가 시기상조..정시 45% 확대도 무리수"
  • 장재훈 기자
  • 승인 2018.08.06 13: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가교육회의, '수능 절대평가- 학종확대' 방침 불구 예상밖 여론에 당혹
2022 수능 상대평가 실시 바람직.. 고교 여건 갖춘 뒤 절대평가 시행해야

대통령 직속 국가교육회의가 7일 2022 대입개편 권고안을 발표한다. 공론화위원회가 제시한 1,2안 중 어떤 결론을 내릴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공론화위는 지난 3일 네 가지 대입 시나리오 중에서 1안과 2안이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고 밝혔다. 1안은 수능위주 정시전형을 45% 이상으로 확대하는 것이고 2안은 현행 상대평가인 수능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안이다.

결국 쟁점은 수능을 상대평가로 할지, 절대평가로 할지 여부와 정시 비율을 어느 정도로 확대해야 하는지에 모아졌다. 국가교육회의가 이 부분에 대한 입장을 정리, 교육부에 권고안을 전달하면 교육부는 8월말 최종 정부안을 확정 발표한다.

◆ 입시담당 교사들 시각은?

현재 고등학교에서 입시를 담당하는 교사들을 2022학년도 입시에서 수능을 전면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입을 모았다. 수능이 절대평가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고교 교육이 토의 토론수업 중심을 바뀌어야 하는데 아직 이를 수용할 만큼 여건이 마련되지 않는데다 시간도 촉박하다는 것이다. 여기에 대학역시 절대평가에 근거한 학생 선발 준비가 안 돼 있고 동점자가 속출할 경우 대입전형이 오히려 더 복잡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지적했다.

고등학교 교장을 지낸 A 장학관은 “수능을 절대평가로 하면 대입전형에서 동점자가 쏟아질 것이고 대학들이 학생선발을 위해 다양한 전형 도구를 설치할 경우 오히려 입시부담은 커지고 혼란만 가중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서울 강남소재 한 고등학교 B 교사는 대학들이 면접이나 약식 논술 등을 통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하려 들 것이기 때문에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는 더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시교육청 진학전문교사로 활동했던 C 교장은 “수학에서 90점을 받은 학생과 100점을 받은 학생은 같은 등급으로 인정되고 89점을 받은 학생은 다음 등급으로 떨어뜨린다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며 절대평가 방식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했다. C 교장은 국어, 수학, 탐구영역은 지금처럼 상대평가로 하고 영어와 한국사, 제2외국어는 절대평가로 하는 것이 현실적이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고등학교 입시담당 D 교사도 “수능 절대평가는 고등학교 현장에서 준비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2022학년도에 실시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고교학점제를 비롯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확 바꿔야 하는데 그게 3년 만에 가능하다고 보는 것은 넌센스”라고 꼬집었다.

이들 입시 전문교사들은 국가교육회의가 중장기적으로 절대평가를 도입한다는 방침을 정했지만 그러나 당장 2022학년도에 이를 실시하는 것은 무리라며 고교 교육여건을 개선하면서 순차적으로 절대평가를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 정시 45%는 ‘교육사회주의’..학종 불신해소가 관건

공론화위원회가 정시 45%이상 선발을 제시한데 대해서도 비판적인 견해가 많았다. C 교장은 “전문대학의 경우 86%가 수시로 학생을 선발한다. 지방대학들도 수시비중이 높다. 우수한 학생들이 서울로 몰리고 4년제 대학을 선호하면서 전문대나 지방대는 수시비중이 줄어들면 학생모집이 몹시 어려워진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런 현실을 무시한 채 정부가 정시 45%이상 선발을 요구한다는 것은 한마디로 교육 사회주의나 다름없다”면서 “정시와 수시 비율을 정부가 일률적으로 정할게 아니라 대학 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B 교사도 “수시 비중이 높은 것은 수도권 상위권 대학에 국한된 현상이다. 고려대의 경우 학종으로 선발하는 비율이 85%에 이른다. 반면 중위권 대학들은 정시 비중이 35%~40%에 이른다”며 “제한적인 현상을 일반화해 모든 대학에 45% 이상 잣대를 들이대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다.

다만 “서울 강남지역을 중심으로 학종 사교육이 성행하고 일부 고등학교에서 소수의 학생들만 대상으로 학종 관리를 하는 폐단이 있는 만큼 이같은 현상을 해소, 학종의 공정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D 교사는 “국가교육회의가 절대평가 도입과 수시확대를 기본방향으로 잡았지만 설문조사 결과 상대평가 의견을 예상보다 높게 나온 데다 학종에 대한 불신이 깊다는 사실을 확인하면서 당혹감 속에 이같은 어정쩡한 대안을 제시한 것 같다”고 진단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