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화가 요구되는 포스트모던 사회
조화가 요구되는 포스트모던 사회
  • 장재훈 기자
  • 승인 2017.11.01 19: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글 강 선 보(고려대 교수, 한국교육학회장)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의 사회를 흔히 포스트모던 사회라고도 한다. 그 이전의 사회를 근대사회라고 하며, 그 이전의 사회를 전근대 사회라고 한다. 따라서 우리의 사회는 전근대사회와 근대사회를 거쳐 오늘날의 포스트모던 사회로 이행된 것이다. 그러면 서로 다른 이러한 사회의 특징적인 차이는 무엇일까?

전근대사회는 한마디로 마술적 세계관이 지배했던 사회이다. 즉 전근대사회의 사람들은 세계가 정령(精靈)으로 가득 차 있다고 보았다. 예컨대, 옛날 사람들은 숲에는 숲의 요정이, 산에는 산신령이, 안방에는 삼신 할머니가 존재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누군가가 병에 걸리면 ‘악령’이 깃들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서 무당을 불러 악령을 쫓아내면 병이 낫는다고 보았다. 이러한 마술적인 관념이 일상생활의 모든 곳에 내재되어 사람들의 삶을 지배했던 사회가 전근대사회이다.

반면에 근대사회는 한마디로 이성적 세계관이 지배했던 사회이다. 모더니즘의 사회가 등장하면서 근대 합리주의가 가장 먼저 해체해 버린 것이 이러한 마술적 세계관이었다. 모더니즘은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이성의 힘으로 도깨비의 정체를 밝혀내고, 우주선을 달에 보내 계수나무와 토끼가 살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내는 등 모든 것을 과학적으로 해명함으로써 ‘탈(脫) 마술화’를 추진하였다. 따라서 숲이나 하늘 그리고 인간 등은 더 이상 신비적인 대상이 아니라, 과학적 이성으로 얼마든지 설명할 수 있는 물리적인 대상으로 변해 버렸다. 요컨대 ‘세계의 탈마술화’가 이루어지고, 결국 이성이 세계를 지배할 수 있다는 것이 근대 합리주의 사상의 기본 패턴이다.

그런데 포스스모더니즘은 이러한 모더니즘의 태도에 대해 부정적이다. 과연 이 세계의 모든 것이 이성에 의해서 제어되고 해명될 수 있을까? 이 물음에 대답하기 위해 하나의 실례를 들어보기로 하자.

 

“영국의 한 용병이 미얀마 전투에 참가하여 전투 도중 실종되었다. 그러나 실종 6개월만에 그 용병이 발견되었는데 그의 손에는 지도가 쥐어져 있었다. 모두들 그 지도는 미얀마 정글의 지도일 것이며 그 지도 덕분에 그 용병이 살아남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나 뜻밖에도 그 지도는 런던의 지하철 노선도이었다. 영국으로 귀국한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그는 언젠가는 돌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저버리지 않았다고 하였다. 그래서 꼭 살아 돌아가 런던의 지하철을 다시 탈 수 있다는 희망에서 지하철 노선도를 손에 꼭 쥐고 있었던 것이며, 바로 그것이 고립무원의 정글 속에서 그의 삶을 지탱하게 해 주었던 것이다.”

 

이 용병의 행위는 지극히 비이성적이고 비합리적이다. 그러나 바로 그의 비이성적∙비합리적인 신념과 행위가 그를 살린 것이다. 이처럼 인간의 삶은 이성에 의해서 지배되는 것이 아니라 종종 비이성적이고 비합리적인 감성에 의해서 지배됨을 알 수 있다. 그래서 혹자는 “비합리적인 것이야말로 가장 합리적인 것이다”라고 역설하기도 한다.

이처럼 포스트 모던 시대는 이성적 자아라는 미명 하에 거부당해 왔던 비이성적 신체∙감각∙감성을 해방시키고, 도덕적 자아라는 미명 하에 속박 당해 왔던 비도덕적 욕구∙욕망∙충동을 해방시켰다. 그리하여 감성의 복권과 더불어, 이성중심주의 사회에서 마음(mind)에 의해 배척받아온 몸(body)도 복권된 것이다. 사실 그간 이성중심주의 사회에서는, 감성은 이성에 비해 열등한 것으로 치부되었기 때문에 감성의 주체인 몸을 억압하고 학대해왔던 것이다. 우리가 굳이 전인적 인간관의 입장을 들지 않더라도, 과연 ‘몸’이 배제된 ‘영혼’과 ‘정신’만의 삶을 인간의 진정한 모습이라고 볼 수 있겠는가? 또한 ‘감성’의 개입 없는 ‘이성’만의 삶을 인간의 진정한 모습이라고 볼 수 있겠는가? 바로 이러한 식의 문제제기들 속에서 포스트 모던 사회가 등장한 것이다. 즉 ‘마음’과 ‘이성’의 자리를 ‘몸’과 ‘감성’이 대신하게 된 것이다.

흔히 21세기 사회는 여성중심의 사회가 될 것이라고 한다. 왜 그럴까? 전술한 바와 같이 근대 사회는 이성중심의 사회인데, 이성은 차갑고 논리적이다. 그러나 감성은 따뜻하고 비논리적이다. 그런데 이성은 남성적이고, 감성은 여성적이라고 한다. 포스트모던 사회에서는 몸과 감성을 더 중시한다. 즉 남성적인 것보다도 여성적인 것을 더 강조하고 선호한다. 그러므로 여성중심의 사회가 도래한다는 것은 몸 중심의 사회 내지는 감성중심의 사회가 도래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다시 말해 냉철하고 강한 것보다도 따스하고 부드러운 것이 세계를 지배한다는 의미이다. 즉 이제는 이성보다는 감성이 더 중시되는 사회가 된 것이다.

어쨌든 21세기의 포스트모던 사회는 이성만능의 근대 사회가 저버렸던 몸과 감성을 되찾은 시대이다. 단순히 되찾은 것만이 아니라, 감성은 창의성의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인간의 창의성이 무엇보다도 중시되는 후기정보화 사회의 총아가 된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냉철한 이성을 완전히 저버릴 수는 없으므로, 금세기의 인간적 화두는 결국 이성과 감성의 조화, 마음과 몸의 조화, 남성과 여성의 조화, 강함과 부드러움의 조화, 따스함과 차가움의 조화에 있지 않겠는가?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